Rylah's Study & Daily Life

02. 인터넷 시스템(Internet System) 본문

Web Study

02. 인터넷 시스템(Internet System)

Rylah 2021. 11. 10. 13:40

인터넷 시스템(Internet System)

여러분이 매일 사용하는 인터넷을 구성하고 있는 시스템을 인터넷 시스템(Internet System)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인터넷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수많은 서버(Server)클라이언트(Client)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버(Server)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나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웹 시스템에서는 여러분이 컴퓨터나 스마트 폰 등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여 방문하는 웹 사이트의 정보를 담고 있는 프로그램이나 컴퓨터웹 서버(Web Server)라고 부릅니다.

 

클라이언트(Client)란 서버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나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를 의미합니다.

웹 시스템에서는 여러분이 여러 웹 사이트를 방문하기 위해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웹 서버(Web Server)

웹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웹 페이지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파일이나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가 요청하면 언제나 웹 서비스를 제공해 줘야 하므로, 웹 서버는 항상 실행되어 있어야 합니다.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웹 브라우저란 웹 서버에서 웹 페이지를 가져오거나 웹 서버로 정보를 보낼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요청하면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웹 페이지 정보를 불러와서 사용자의 화면에 출력해 줍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웹 브라우저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웹 브라우저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구글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 등이 있습니다.

 

다음은 전 세계에서 2017년 한 해 동안 어떠한 웹 브라우저들이 얼마나 사용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차트입니다.

 

출처 : StatCounter Global Stats - Browser Market Share , http://tcpschool.com/

 

Browser Market Share Worldwide | Statcounter Global Stats

This graph shows the market share of browsers worldwide based on over 10 billion monthly page views.

gs.statcounter.com

 

프로토콜(Protocol)

프로토콜(Protocol)이란 컴퓨터끼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일종의 규칙이나 약속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보통 다른 사람과 대화하려고 할 때는 사용할 언어나 장치 등을 서로 일치시켜야만 원할한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컴퓨터끼리도 정보를 교환할 때 데이터의 형식이나 통신 순서 등을 미리 일치시켜야만 통신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컴퓨터 사이의 통신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 둔 네트워크 통신 규약프로토콜이라고 부릅니다.

 

대표적인 프로토콜에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 웹에서 사용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파일을 주고 받을 때 사용되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등이 있습니다.


인터넷 주소

인터넷 상에서 특정 컴퓨터나 서버를 찾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타입의 주소 중 하나를 알고 있어야만 합니다.

 

1.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2. 도메인 네임(Domain Name)

 

정확히 말해 인터넷 주소는 IP 주소만을 의미하며, 도메인 네임은 DNS 서버에서 IP 주소로 자동 변환됩니다.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인터넷 상에는 수많은 컴퓨터와 서버들이 무수히 많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컴퓨터들이 인터넷 상에서 서로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받은 식별용 번호가 바로 IP 주소입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 주소 체계는 IPv4(IP 버전4)로 0부터 255까지의 십진수 네 개를 점(.)으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32비트의 주소 체계인 IPv4는 이론상 약 43억 개의 IP 주소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인터넷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IP 주소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고안된 128비트의 주소 체계인 IPv6(IP 버전6)의 사용이 점점 증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현재는 IPv4와 IPv6의 주소 체계가 같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도메인 네임(Domain Name)

IP 주소는 '202.179.177.22'처럼 0부터 255까지의 십진수 네 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람이 외우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이처럼 외우기 어려운 숫자 형태의 IP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주소를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라고 합니다.

 

도메인 네임은 'naver.com'처럼 몇 개의 의미있는 문자들과 점(.)의 조합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도메인 네임은 네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컴퓨터를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호스트명이 됩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DNS)

도메인 네임은 오로지 사람이 외우기 쉽도록 만든 주소로 컴퓨터는 사실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도메인 네임을 실제 IP 주소로 변경해 주어야만 컴퓨터가 목적지를 제대로 찾아갈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도메인 네임과 함께 거기에 해당하는 IP 주소값을 한 쌍으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DNS라고 부르며, 이 변환 과정은 네트워크 내부에서 자동으로 수행됩니다.

웹의 동작 원리

다음은 여러분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웹 페이지를 가져오는 과정을 도식화한 그림입니다.

 

 

①②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찾고 싶은 웹 페이지의 URL 주소를 입력함.

③ 사용자가 입력한 URL 주소 중에서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부분을 DNS 서버에서 검색함.

④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 사용자가 입력한 URL 정보와 함께 전달함.

 

⑤⑥ 웹 페이지 URL 정보와 전달받은 IP 주소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함.

이렇게 생성된 HTTP 요청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 해당 IP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됨.

 

⑦ 이렇게 도착한 HTTP 요청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URL 정보로 변환됨.

⑧ 웹 서버는 도착한 웹 페이지 URL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함.

 

⑨⑩ 검색된 웹 페이지 데이터는 또 다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함.

이렇게 생성된 HTTP 응답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 원래 컴퓨터로 전송됨.

 

⑪ 도착한 HTTP 응답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됨.

⑫ 변환된 웹 페이지 데이터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됨.

 

http://tcpschool.com/

 

코딩교육 티씨피스쿨

4차산업혁명, 코딩교육, 소프트웨어교육, 코딩기초, SW코딩, 기초코딩부터 자바 파이썬 등

tcpschool.com

 

'Web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0) 2022.03.29
03. 인터넷 용어 (2)  (0) 2021.11.10
03. 인터넷 용어 (1)  (0) 2021.11.10
01. 인터넷과 웹  (0) 202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