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lah's Study & Daily Life

03. 인터넷 용어 (1) 본문

Web Study

03. 인터넷 용어 (1)

Rylah 2021. 11. 10. 14:22

검색 엔진(search engine)

인터넷 초기에는 모든 웹 서버를 하나의 목록으로 만들어 관리할 만큼 자료의 양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그 중에서 원하는 자료를 찾는 것이 어렵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인터넷 환경이 점점 발달함에 따라 웹 상에는 엄청난 양의 자료들이 넘쳐나기 시작했고, 이 방대한 자료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자료를 찾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 되었습니다.

 

웹에 존재하는 많은 양의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여러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 등에서 검색해 주는 시스템이나 프로그램 등을 통틀어 검색 엔진(search engine)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검색 엔진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웹에서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검색 엔진의 동작 원리

검색 엔진은 크게 정보 수집, 색인 그리고 검색의 순서로 동작합니다.

 

 

검색 엔진은 사용자가 검색 엔진을 사용하기 전에 미리 웹 상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색인을 만들어 놓습니다.

그리고나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미리 만들어 놓은 색인 중에서 입력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찾아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검색 엔진에서는 웹상의 방대한 정보들을 검색하고 색인화하는 과정을 크롤러(crawler)라고 부르는 정보 수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크롤러가 주기적으로 웹에 접속된 사이트들을 방문하여 해당 웹 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정보에 대해 색인을 작성한 후 그것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검색 시 활용하게 됩니다.

 

크롤러(crawler)란 웹상의 문서나 이미지, 영상 등을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취합하여,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프로그램으로 봇(Bot)이라고도 부릅니다.


검색 엔진의 종류

검색 엔진의 종류는 웹에서 수집한 정보를 색인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로봇 검색 엔진

크롤러라고 불리는 로봇을 이용하여 웹상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한 데이터를 키워드(keyword) 색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검색 엔진입니다.

Google이나 Naver 등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검색 엔진이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2. 디렉토리 검색 엔진

주제 분류에 의한 검색(디렉토리 서비스)을 제공하는 검색 엔진이며, 데이터의 분류를 사람이 직접 수행해야 합니다.

현재 주류인 방식은 아니며, 1990년대 Yahoo 등에서 사용되었습니다.

 

3. 메타 검색 엔진

자체적으로는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복수의 다른 검색 엔진으로 전송하여 결과를 얻고, 그 결과들을 종합하여 표시만 해 주는 검색 엔진입니다.

여러 검색 엔진의 결과를 동시에 보여주기 때문에 결과를 한눈에 살펴보기에는 편하지만, 메타 검색이라는 과정을 한 번 더 거쳐야 하므로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검색 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

다양한 타입의 검색 엔진이 자신만의 방법으로 웹상의 수많은 웹 페이지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그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검색 결과의 상위에 자신의 웹 페이지가 노출되기 위해서는 각 검색 엔진이 자료를 수집하고 검색 결과를 산출하는 방식에 맞춰 웹 페이지의 구성을 조정해야만 합니다.

이렇게 각각의 검색 엔진에 맞춰 웹 페이지 내의 키워드(keyword)나 링크(link) 등을 최적화하는 작업을 검색 엔진 최적화(SEO)라고 합니다.

 

검색 엔진의 검색 결과 상위에 웹 페이지가 노출되면 자연스럽게 해당 웹 페이지의 방문자가 늘어나므로, 현재는 중요한 웹 마케팅의 일환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란 웹 상에서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사람들이 각자의 의견과 생각, 경험, 관점 등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나 웹 사이트 등을 통틀어 가리킵니다.

 

또한 넓은 의미로는 코멘트(comment)나 트랙백(trackback) 등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블로그(blog)나 전자게시판 등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SNS로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카카오 스토리, 밴드, 싸이월드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SNS라는 용어보다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 일부 언론에서는 사회관계망서비스라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SNS 기본 기능

SNS가 가져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프로필(profile) 기능

2. 메시지(message) 기능

3. 타임라인(timeline) 기능

4. 사용자 상호 링크(user link) 기능

5. 사용자 검색(user search) 기능

6. 설문 조사(survey) 기능

7. 커뮤니티(community) 기능

 

위와 같은 기능을 가진 서비스나 웹 사이트들을 SNS 또는 소셜 미디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SNS의 사회적 가치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최근 수많은 형태의 다양한 SNS들이 서비스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SNS 이용자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SNS가 사회적인 측면에서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NS는 기존에 이미 알고 지내던 오프라인의 사회적 관계를 더욱 강화시켜 주고, 온라인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쉽게 맺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SNS에서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뉴스에 비해 더욱 빠른 정보 전달이 가능합니다.

3. 특정 이슈에 관해 다수의 이용자에게 매우 빠르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여론을 형성하여 그 파급력을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요근래 이슈가 되고 있는 1인 미디어는 블로그나 SNS 등을 기반으로 개인이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빠르게 정보를 교류함으로써 여론 형성에 앞장서며, 다양하고 참신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그 영역을 점차 확대하고 있습니다.


SNS의 문제점

많은 사람들을 연결해 주는 SNS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사진이나 이름과 같은 개인정보가 무분별하게 공개되어 자칫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있습니다.

2. SNS에는 대부분 자신의 행복하고 좋았던 일들만을 올리는 경향이 크므로,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여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거나 우울해 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3. SNS에는 누구나 아무런 검증 없이 정보를 올릴 수 있으므로, SNS에 올라가 있는 정보가 맞는 정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인터넷상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컴퓨터 자원을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즉, 사용자는 인터넷 상에 데이터를 저장해 놓고 언제 어디서나 필요할 때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거나, 필요한 프로그램을 자신의 컴퓨터에 따로 설치하지 않고도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대부분의 작업은 전 세계에 분산되어 위치한 데이터 센터(data center)라는 곳에서 수행되며, 사용자의 컴퓨터는 단순히 클라우드에 접속할 수 있는 최소한의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분류

클라우드 컴퓨팅은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oftware as a Service, SaaS)

: SaaS란 인터넷을 경유하여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플랫폼과 인프라스트럭쳐를 관리할 필요없이 자신의 컴퓨터에서 단순히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ex) 네이버 클라우드,  드롭박스(Dropbox), 구글 드라이브(Google Drive) 등

 

2. 서비스로서의 플랫폼(Platform as a Service, PaaS)

: PaaS란 인터넷을 경유하여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가상화된 응용 프로그램 서버나 데이터베이스 등을 제공받아 자신의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ex) 구글 App 엔진, MS사의 Windows Azure, 헤로쿠(Heroku) 등

 

3. 서비스로서의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acture as a Service, IaaS) 또는 HaaS(Hardware as a Service)

: IaaS란 인터넷을 경유하여 하드웨어나 인프라스트럭쳐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서버 가상화나 공유 디스크 등을 제공받아 자신만의 시스템을 도입하고 구축할 수 있습니다.

ex) 아마존 웹 서비스(AWS)의 EC2, IBM사의 SoftLayer 등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

1. 초기 환경을 위한 구입 비용이나 구축 비용이 적게 듭니다.

2. 다양한 기기에서 일관성 있는 사용자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3. 하드웨어나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단점

1. 서버의 데이터에 사용자 이외의 인증되지 않은 접근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서버의 데이터가 손상되면 해당 데이터를 복구할 방법이 없습니다.

2. 제공받은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못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사용자의 통신 속도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제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SaaS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중 여러분이 실생활에서 많이 접하게 될 서비스는 바로 SaaS 서비스입니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SaaS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네이버 클라우드 : 한국의 대표적인 포탈 사이트인 네이버에서 운영하고 있는 파일 저장 서비스

 

2.  드롭박스(Dropbox) :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웹 기반의 파일 공유 서비스

 

3.  구글 드라이브(Google Drive) : 구글에서 제공하는 협업 도구 및 파일 공유 서비스

 

http://tcpschool.com/

 

코딩교육 티씨피스쿨

4차산업혁명, 코딩교육, 소프트웨어교육, 코딩기초, SW코딩, 기초코딩부터 자바 파이썬 등

tcpschool.com

 

'Web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0) 2022.03.29
03. 인터넷 용어 (2)  (0) 2021.11.10
02. 인터넷 시스템(Internet System)  (0) 2021.11.10
01. 인터넷과 웹  (0) 202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