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tudy/System Programming (4)
Rylah's Study & Daily Lif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 WIN32 vs WIN64 - 하드웨어 입장에서의 32비트 vs 64비트 32비트와 64비트 구분 방법 - 한번에 수신/송신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 (Input/Output Bus) - 데이터 처리 능력 (CPU의 능력)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와 수신/송신 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기준으로 32비트 시스템과 64비트 시스템이 결정 된다. 프로그래머 입장에서 32비트 vs 64비트 - 프로그램으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의 증가 - 표현할 수 있는 메모리 전체의 크기 - 포인터의 크기가 32비트는 4바이트, 64비트는 8바이트이다. - 포인터가 크면 클 수록 프로그래머에게 유리하다. -> 접근 가능한 자료의 값의 최대가 더 크다 - 32비트는 최대 4기가, 64비트는 16TB? - Inp..

1. Windows에서의 Unicode - 문자 셋의 종류와 특성 -> SBCS(Single Byte Character Set) - 문자를 표현하는데 1바이트를 사용 - 아스키 코드 -> MBCS(Multi Byte Character Set) - 한글은 2바이트, 영문은 1바이트 사용 - 유니코드는 MBCS가 아니다. -> WBCS(Wide Byte Character Set) - 문자를 표현하는데 2바이트를 사용 - 유니코드 - MBCS 기반의 문자열 예제를 하나 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include #include int main(void) { char str[] = "ABC한글"; int size = sizeof(str); int len = strle..

시스템 프로그래밍? - C++, Java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컴퓨터 시스템에서 기능을 제공해주는 강력한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공부 - 이 강의에서 다루는 범위의 비율(컴퓨터 구조 : 10 ~ 15% , 운영체제 : 25 ~ 30 %, 시스템 프로그래밍 : 50%) -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운영체제에 종속적일 수 밖에 없기에 운영체제에 관련된 이야기를 할 수 밖에 없다. 컴퓨터 구조에 대한 첫 번째 이야기 시스템 프로그래밍이란? - 시스템(컴퓨터)의 범위 : 하드웨어 + 운영체제 (묶어서 생각해야 된다.) - 시스템 프로그래밍 ->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 Windows 운영체제 자체의 기능을 활용하는 프로그래밍 -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과의 차이점 ->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모..